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법소개

보강토블록

보강토 공법의 도입 배경

사면을 형성하는 흙은 불연속성 재료이며 전단강도(특히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변형특성이 상대적으로 크고, 투수성이 특히 크거나 작은 점 등이다.
이에 외력과 자중에 의해 전단 응력이 사면을 따라 활동을 일으켜 파괴된다.

이에 흙속에 인장력을 갖고 있는 재료를 포설하여 흙의 성질을 새롭게 개량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구조물이 보강토 옹벽이다.

보강토 옹벽의 구성

보강재(그리드형)

보강재는 보강토 공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보강토 뒤채움 흙 속에 보강재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흙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흙자체의 취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또한 흙의 변형을 억제하고 토체 내부의 응력을 분담하며 흙의 인장강도 증가, 흙과 보강재의 접촉마찰에 의한 전단저항력으로부터 발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그리드형 보강재는 흙과 보강재의 결속력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보강재이다. 보강재 자체에 개구부가 있어 보강재 상하부의 흙 입자가 개구부를 통해 결속 되어 있다. 따라서 인발 시에는 흙과보강재의 접촉면에서 유발하는 표면마찰 저항력과 횡방향 지지 부재에서 유발하는 지지저항력에 의해 인발 저항력을 발휘한다

블록식 벽면체

보강토 옹벽의 주요구성체 중인 하나인 블록은 보강토 구조물의 수려한 외관을 형성하며.보강재의 고정 및 뒤채움재(자갈), 블록벽면체 배면의 토사가 중력 및 바람 유수 등으로 유실 되는 것을 방지 한다.

보강토 시공순서
  1. 1.기초터파기(잡석,기초Con'c)

  2. 2. 유공관 설치

  3. 3. 표준형 블럭쌓기

  4. 4. 골재포설

  5. 5. 보강재 설치

  6. 6. 부설 및 다짐

  7. 7. 마감 및 벽체청소